대중교통 무제한 정기권, 왜 중요한가?
해외 한 달 살기, 워홀, 유학, 디지털 노마드 생활에서 교통비는 월 지출의 10~20% 이상을 차지하는 고정비다.
대도시에서는 단일권/거리 요금제만 사용하면 교통비가 폭등하지만, 무제한 정기권(프리패스)이 있으면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대중교통 무제한 정기권이 있는 나라와 도시를 정리해
해외 거주, 장기 여행 시 교통비를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무제한 정기권의 장점
예산 예측 가능: 교통비가 고정되어 생활비 관리가 편리
이동 제약 해소: 멀리 가는 것을 꺼리지 않아 생활 반경 확대
단일권 대비 저렴: 매일 외출 시 단일권 대비 30~50% 절감
심리적 해방감: “돈 아까워서 걷는다”는 스트레스 해소
대중교통 무제한 정기권이 있는 나라 & 도시 리스트
다음은 2025년 기준, 대중교통 무제한 정기권(버스+지하철+트램 등)이 실제 운영 중인 도시/국가다.
독일 – 49유로 티켓
- 내용: 전국 모든 지역의 지역교통 무제한 이용 가능 (버스, 지하철, S-Bahn, 트램 등)
- 가격: 49 EUR (약 78,000원, 1 EUR = 1,600원 기준)
- 장점: 독일 전역 이동 가능, 교외 여행도 자유
- 주의: 고속열차(ICE), 인터시티버스 제외
프랑스 파리 – 나비고(Navigo) 패스
- 내용: 파리 및 일드프랑스 지역 무제한 사용 가능
- 가격: Zone 1-5 기준 약 86 EUR (약 137,600원)
- 장점: 지하철, 버스, 트램, RER 포함
- 주의: 요일별 구간별 이용 계획 필요
영국 런던 – 트래블카드
- 내용: 선택한 존(Zone) 내 무제한 사용
- 가격: Zone 1-2 기준 약 160 GBP (약 275,000원)
- 장점: 버스, 지하철, 오버그라운드 포함
- 주의: 영국 환율 및 물가 부담 큼
스위스 – 스위스 패스
- 내용: 일정 기간 동안 스위스 전역의 기차, 버스, 보트 무제한
- 가격: 3일권 232 CHF (약 355,000원), 15일권까지 다양한 옵션
- 장점: 스위스 전역 여행에 유리
- 주의: 단기 여행자용, 장기 체류 시에는 지역권이 더 유리
일본 – 도쿄 메트로/Toei Subway 프리패스
- 내용: 24/48/72시간권, 일정 기간 무제한 사용
- 가격: 72시간권 1,500엔 (약 14,200원, 100엔 = 947원 기준)
- 장점: 단기 체류 시 저렴하게 무제한 이동
- 주의: JR 노선, 일부 사철 제외
한국 – 서울 정기권(충전형)
- 내용: 60회 사용(사실상 무제한에 가까움), 지하철+버스 환승 가능
- 가격: 약 55,000원
- 장점: 거리 상관없이 이용 가능, 학생/청년 교통비 절감
- 주의: 60회 이상 시 추가 요금 발생
오스트리아 – 비엔나 월 정기권
- 내용: 비엔나 내 무제한 사용
- 가격: 약 51 EUR (약 81,600원)
- 장점: 버스, 트램, 지하철 포함
- 주의: 비엔나 지역에 한정
노르웨이 오슬로 – Ruter 패스
- 내용: 오슬로 및 근교 구간 무제한 사용
- 가격: 약 853 NOK (약 104,000원)
- 장점: 구간별 요금 구조 단순
- 주의: 일부 외곽 지역 요금 추가
스웨덴 스톡홀름 – SL 카드
- 내용: 스톡홀름 지역 무제한 사용
- 가격: 약 970 SEK (약 123,000원)
- 장점: 지하철, 버스, 페리 포함
- 주의: 고속/특급 제외
뉴질랜드 웰링턴 – Metlink 월간 패스
- 내용: 버스+기차 무제한 사용
- 가격: 구간별 150~250 NZD (약 120,000~200,000원)
- 장점: 도심 및 교외 이동 유리
- 주의: 지역별 구간 확인 필요
무제한 정기권이 없는 지역은 어떻게 대처할까?
미국, 캐나다, 호주 일부 지역 등은 무제한 정기권이 없어
단일권/거리제 요금만 사용해야 한다.
이 경우:
충전식 교통카드 활용 (메트로카드, 오팔카드, 프레스토카드 등)
구간권/10회권 할인 이용
도보/자전거 활용
교통비가 비싼 도시(런던, 뉴욕, 시드니)에서는 주거지를 업무/학교 근처로 설정
으로 교통비를 관리해야 한다.
무제한 정기권이 유리한 사람
매일 외출/통학/출퇴근이 필요한 유학생, 워홀러, 장기 체류자
도시 탐방 및 외곽 여행을 자주 하는 장기 여행자
외식, 모임, 코워킹, 카페 이동이 잦은 디지털 노마드
결론 – 해외 생활 물가, 무제한 정기권으로 절약 가능
대중교통 무제한 정기권은 교통비를 30~50%까지 절약해 주며,
해외 거주 시 생활 반경을 넓혀주고 이동 스트레스를 크게 줄인다.
유럽, 일본, 한국, 일부 남미 국가에서는 활용도가 높으며,
정기권이 없는 지역에서는 도보·자전거·카드 충전 요금 관리로 대응해야 한다.
해외 생활에서 무제한 정기권은 단순 교통비 절약을 넘어, 자유로운 이동과 더 많은 경험을 누릴 수 있는 투자가 된다.
참고 안내
※ 본 글은 2025년 7월 기준 환율 및 현지 요금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환율, 정책, 요금 변동에 따라 실제 비용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 생활 물가, 국가별 교통비 부담 순위 TOP 10 (0) | 2025.07.04 |
---|---|
해외 생활 물가, 유럽에서 월세 가장 저렴한 도시는 어디? (0) | 2025.07.04 |
해외 생활 물가, 한국과 일본 외식비만 비교해봤습니다 (0) | 2025.07.04 |
해외 생활 물가,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물가 폭등 실태 (0) | 2025.07.03 |
해외 생활 물가,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한 달 살기 실제 비용 (0) | 2025.07.03 |